맨위로가기

아슬란 마스하도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슬란 마스하도프는 체첸의 군인, 정치인으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소련군에서 복무한 후 체첸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제1차 체첸 전쟁에서 체첸군 참모총장으로 활약했다. 1996년 하사브유르트 협정을 통해 휴전을 이끌었으며, 1997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러시아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나, 샤밀 바사예프의 다게스탄 침공과 아파트 폭탄 테러로 인해 2차 체첸 전쟁이 발발했다. 2000년 그로즈니가 함락된 후 무장 반란을 지휘하며 러시아에 수배되었고, 2005년 러시아 특수부대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는 비교적 온건한 성향으로 외교적 해결을 시도했으며,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를 비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간다 출신 - 히다얘트 헤이대로프
  • 카라간다 출신 - 아흐마트 카디로프
    아흐마트 카디로프는 체첸의 종교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체첸 전쟁에서 독립파 지도자로 러시아에 대항하다가 제2차 체첸 전쟁에서 러시아로 전향하여 체첸 공화국 수반을 역임했으며, 2004년 암살당했다.
  • 카라간다주 출신 - 알리한 부케이하노프
    알리한 부케이하노프는 카자흐의 정치인이자 지식인으로서 알라시 자치국 수립을 주도하고 알라시 오르다의 의장을 역임하며 카자흐 민족의 자치 쟁취와 민족의식 고취에 헌신했다.
  • 카라간다주 출신 - 다리가 나자르바예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전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딸인 다리가 나자르바예바는 정치인, 사업가, 아마추어 오페라 가수로, 아사르 공화당 의장, 마질리스 의원, 부총리, 상원 의장을 역임했으나, 파나마 페이퍼스 연루 및 자금 출처 설명 명령 관련 법적 분쟁 등 여러 논란에 직면해 왔다.
  •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 제1차 체첸 전쟁
    제1차 체첸 전쟁은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연방과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간의 무력 분쟁으로, 독립 선언,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조약 미체결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러시아군의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게릴라전과 인권 침해로 인해 장기화되어 결국 러시아군의 철수와 사실상 독립을 가져왔지만, 제2차 체첸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
  •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 샤밀 바사예프
    샤밀 바사예프는 체첸 출신의 군사 지도자이자 테러리스트로, 체첸 독립을 주장하며 여러 분쟁과 테러를 주도하다가 2006년 사망했다.
아슬란 마스하도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9년의 마스하도프
이름아슬란 마스하도프
본명마스하단 알리-보 아슬란
로마자 표기Aslan Aliyevich Maskhadov
러시아어 표기Асла́н (Хали́д) Али́евич Масха́дов
체첸어 표기Масхадан Али-воӀ Аслан (Халид)
출생일1951년 9월 21일
출생지소비에트 연방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라간다
사망일2005년 3월 8일
사망지러시아 체첸 공화국 톨스토이-유르트
배우자쿠사마 마스하도바
자녀2명
소속 정당국가 독립당
직업군인
서명Aslan Maskhadov’s signature.svg
소속소비에트 연방
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
군사 계급소장
정치 경력
직책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 대통령
대통령 임기 시작1997년 2월 12일
대통령 임기 종료2000년 5월 1일
대통령 이전젤림한 얀다르비예프 (대행)
대통령 다음압둘-할림 사둘라예프 (대행)
부통령바하 아르사노프
압둘-할림 사둘라예프
총리 직책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 총리
총리 임기 시작1996년 10월 16일
총리 임기 종료1997년 1월 1일
총리 이전젤림한 얀다르비예프
총리 임기 시작1997년 2월
총리 임기 종료1998년 1월 1일
총리 다음샤밀 바사예프
총리 임기 시작1998년 7월 3일
총리 임기 종료2000년 2월
총리 다음직책 폐지
총리 이전루슬란 겔라예프
군사 경력
소속 군대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군
주요 전투제1차 체첸 전쟁
제1차 그로즈니 전투
제2차 체첸 전쟁
그로즈니 전투

2. 생애와 경력

1951년 소비에트 연방 카자흐 SSR(현재의 카자흐스탄) 카라간다에서 태어났으며, 1957년 가족과 함께 체첸으로 돌아왔다. 1969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트빌리시 고등포병학교(1972년 졸업)와 상트페테르부르크(당시 레닌그라드)의 칼리닌 군사학교(1981년 졸업)를 졸업했다. 소련군에서 포병 장교로 복무하며 대령까지 진급했으며, 헝가리, 발트 3국 등에서 근무했다.

1991년 소련군에서 퇴역한 후 고향 체첸으로 돌아와 체첸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 1993년 체첸군 참모총장이 되어 1994년 발발한 제1차 체첸 내전에서 러시아 연방군에 맞서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했으며, 당시 대통령 조하르 두다예프와 함께 항전했다. 전쟁 말기인 1996년 8월, 러시아 연방 안전보장회의 서기 알렉산드르 레베디와 하사뷰르트 협정을 체결하여 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6년 10월 체첸 임시 정부 총리를 맡았고, 1997년 1월 러시아군 철수 후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의 제3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5월,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과 "평화와 상호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며 평화 정착을 시도했다. 그러나 샤밀 바사예프 등 강경파와의 갈등, 조직 범죄 만연 등으로 국내 상황은 불안정했다. 1999년 강경파의 다게스탄 공화국 침공과 러시아 아파트 폭탄 테러 사건을 빌미로 러시아제2차 체첸 전쟁을 일으키자 수도 그로즈니가 함락되었고(2000년), 마스하도프는 러시아 당국에 의해 지명 수배되어 게릴라 활동을 이어갔다.

2002년 공식적인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었으나, 전시 상황임을 이유로 독립파 진영에서는 계속 대통령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지속적으로 평화 협상을 제안했으나 거부당했다.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 연루 의혹을 받았으나 강력히 부인했다. 2005년 3월 8일, 그로즈니 인근 톨스토이-유르트에서 FSB 특수부대에 의해 사살되었다. 온건파 지도자로 평가받던 그의 사망은 체첸 분쟁의 평화적 해결 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계기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51년 9월 21일, 소련의 카자흐 SSR (현재의 카자흐스탄) 카라간다주에 있는 작은 마을 샤카이에서 태어났다. 이는 1944년 조셉 스탈린의 명령으로 자행된 체첸인 대규모 강제 이주 시기였다. 그의 가족은 알라로이 테이프(알칸 네케 지파) 출신이었다. 1957년, 6살 때 가족과 함께 체첸으로 돌아와 나드테레치니 구의 제비르-유르트에 정착했다.

1969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인접한 조지아 SSR에서 훈련을 받고 1972년 트빌리시 포병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81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당시 레닌그라드)의 칼리닌 고등 포병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2] 졸업 후 포병 장교로 복무하며 헝가리에 주둔한 자주포 연대(~1986년)와 발트 군관구(1986년~) 등에서 근무했다. 1990년부터는 리투아니아 SSR의 수도 빌뉴스에서 소련 미사일 및 포병 부대의 참모총장으로 복무했다. 1991년 1월, 소련군이 빌뉴스 텔레비전 타워를 장악한 1월 사건에 관여했으나, 실제 무력 진압 작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알려졌다.[2] 소련군 복무 중 조국 봉사 훈장을 두 차례 수훈했다.

1992년 대령 계급으로 소련군에서 퇴역하여 고향 체첸으로 돌아왔다. 그는 1992년 말부터 1993년 11월까지 체첸 공화국의 민방위를 이끌었다. 소련 해체 이후 혼란한 상황 속에서 1993년 여름, 조하르 두다예프 정부에 반대하는 무장 세력이 우루스-마르탄, 나드테레치니, 구데르메스 지역에서 벌인 습격에 참여하기도 했다. 1993년 11월, 두다예프에 반대하는 반란이 실패로 돌아가자 기존 참모총장이 해임되었고, 마스하도프가 체첸군의 참모총장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994년 3월에는 정식 참모총장으로 취임했다.

2. 2. 체첸 독립 운동 참여

1992년 대령 계급으로 소련군에서 퇴역하여 고향으로 돌아왔다.[2] 그는 1992년 말부터 1993년 11월까지 체첸 공화국의 민방위를 이끌었다. 소련 해체 후, 1993년 11월 조하르 두다예프 반대 반란이 실패로 돌아가자, 마스하도프는 체첸군의 권한대행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94년 3월 정식 참모총장이 되었다.

1994년 12월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전쟁 기간 동안 체첸 측의 최고 군사 지휘관으로 활동했으며, 러시아군에 대한 체첸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2] 그는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참모총장으로서 그로즈니 전투 당시 수도 방어를 조직했다. 마스하도프는 그로즈니 대통령궁에서 직접 전투를 지휘했으며, 1995년 2월에는 조하르 두다예프 대통령에 의해 사단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두다예프 대통령과 함께 끝까지 항전했다.

1995년 6월부터 마스하도프는 그로즈니에서 열린 평화 회담에 참여했다. 1996년 6월 잉구셰티야 나즈란에서 열린 협상에서는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 정부를 대표하여 휴전 관련 의정서에 서명했다. 1996년 8월, 체첸 부대가 그로즈니를 탈환한 후, 그는 러시아 연방 안전보장회의 서기 알렉산드르 레베디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고, 1996년 8월 31일 하사뷰르트 협정에 서명하여 제1차 체첸 전쟁을 종식시킨 휴전 및 평화 조약을 이끌어냈다.

2. 3.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대통령

1996년 10월 17일, 아슬란 마스하도프는 이치케리아의 총리로 임명되었으며, 동시에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직을 유지했다. 1997년 1월, 러시아군이 완전히 철수한 직후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부통령 후보 바하 아르사노프와 함께 출마하여 6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체첸과의 관계 재건을 약속하며 축하를 보냈다. 마스하도프는 1997년 2월 12일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총리직을 겸임했고, 국방장관직은 폐지했으나 공화국군 최고사령관직은 유지했다. 1997년 5월 12일, 마스하도프는 크렘린에서 옐친 대통령과 러시아-체첸 평화 조약에 서명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3]

마스카도프와 옐친이 모스크바 평화 조약 서명 후 악수하는 모습


그러나 마스하도프가 취임했을 당시 체첸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인구의 약 40%에 달하는 50만 명이 전쟁으로 인해 집을 잃고 난민 캠프나 과밀한 마을에서 생활하고 있었고,[4] 경제는 완전히 파괴된 상태였다. 또한, 샤밀 바사예프를 비롯한 여러 군벌들은 휘하 민병대를 해산할 의사가 없었으며, 이들에 대한 통제력을 점차 잃어가면서 마스하도프의 정치적 입지는 불안정해졌다. 심지어 부통령 아르사노프마저 그의 정적이 되었다. 조하르 두다예프 시대와 마찬가지로, 독립 체첸은 납치를 포함한 조직 범죄가 만연했으며, 일부 범죄자들은 공개 처형되기도 했다.[5][6]

마스하도프는 바사예프 등이 지원하는 와하비즘과 같은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의 성장을 억제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이는 체첸 분리주의 운동 내부에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과 세속적 민족주의 세력 간의 분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1999년 2월, 마스하도프는 급진 이슬람주의자들의 요구에 굴복하여 이슬람 샤리아 법을 도입했다. 이후 설립된 샤리아 법정에서는 간통과 같은 행위에 대해 사형을 포함한 엄격한 처벌을 선고했다.[7]

이러한 혼란 속에서 마스하도프는 1998년 7월 23일, 1999년 3월 21일과 4월 10일에 걸쳐 세 차례의 암살 시도를 겪었다. 이 공격에는 대전차 미사일과 폭탄 등이 사용되었으며, 러시아 비밀정보기관이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2][8]

1999년 여름, 마스하도프는 바사예프와 이븐 알-카타브가 이웃한 다게스탄 공화국을 침공하여 전쟁을 확산시키려 한 시도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2] 그러나 이 침공과 같은 해 발생한 러시아 아파트 폭탄 테러의 책임은 모두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책임으로 돌려졌다. 1999년 10월 1일, 당시 러시아 총리였던 블라디미르 푸틴은 마스하도프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러시아군을 체첸에 다시 투입했다. 이는 제2차 체첸 전쟁의 시작이었으며, 푸틴은 이를 통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 결국 러시아 대통령이 되었다.[9]

1999년 10월 11일, 마스하도프는 반군 지도자들에 대한 단속을 포함한 평화 계획을 제안했으나 러시아 측은 이를 거부했다.[10] 이에 마스하도프는 러시아군에 맞서 ''가자와트''(성전)를 선포했다. 그는 그로즈니 전투 (1999-2000)에서 샴릴 바사예프, 루슬란 겔라예프, 이븐 알-카타브 등과 함께 주요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러시아군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결국 그로즈니에서 철수하여 남부 산악지대로 은신하며 게릴라 활동을 이어나갔다.[11] 마스하도프는 바사예프 다음으로 러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수배 인물이 되었고, 러시아 정부는 그의 체포에 1000만달러현상금을 내걸었다.

도피 중에도 마스하도프는 분리주의 세력의 공식적인 정치 지도자로 간주되었으나, 군사적 역할은 불분명했다. 그는 2000년부터 여러 차례 러시아와의 무조건적인 평화 협상을 제안했지만, 러시아 측은 이를 계속 무시했다.[12] 마스하도프는 체첸에 대한 러시아의 점령에 맞선 무장 저항을 지지하면서도 민간인 공격은 비난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친러시아 성향의 체첸 대통령 아흐마드 카디로프의 암살을 지지했지만, 2004년 카타르에서 발생한 전 체첸 대통령 젤리무르잔 유다르비예프의 암살(러시아 소행으로 추정됨)은 비난했다. 마스하도프는 바사예프 추종자들이 자행한 잔혹한 테러 행위에 대해 종종 책임을 부인했으며, 해외 대변인인 아흐메드 자카예프를 통해 비난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2년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사건 당시, 러시아 영토 내 테러 활동 강화를 촉구하는 그의 무선 메시지가 가로채졌다는 주장과 함께[7] 주범들의 증언으로 인해 사건 연루 의혹이 제기되었다.[7] 또한, 2004년 2004 나즈란 습격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부인했으나, 같은 해 7월 공개적으로 책임을 인정하고 유사한 공격이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7] 반면, 베슬란 학교 인질극에 대해서는 배후 세력을 "미치광이"라고 칭하며 테러 행위를 강력히 비난하고 자신과는 무관함을 주장했다.[13] 그는 베슬란 사건의 배경으로 러시아군의 체첸 침공이 제노사이드임을 지적하며, 러시아군에 의해 살해된 체첸인 25만 명 중 어린이가 4만 2천 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2002년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었으나, 마스하도프 측은 전시 상황임을 이유로 임기가 연장되었다고 주장하며 계속해서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 대통령' 칭호를 사용했다. 2005년 1월, 마스하도프는 2월 말까지 자기 방어를 제외한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하라는 일방적인 휴전 명령을 내리고 다시 한번 협상을 통한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 그의 협상 대표는 분리주의자들이 더 이상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지 않으며 "체첸 민족의 존재 보장"을 원한다고 밝혔다.[14] 이 휴전 제안은 바사예프의 지지를 받았지만, 러시아와 친러시아 지도자들은 협상을 거부했다.[15] 휴전 명령은 다게스탄을 제외한 지역에서 대체로 지켜졌다.[16]

2005년 3월 8일, FSB 국장 니콜라이 파트루셰프는 FSB 특수부대가 체첸 수도 그로즈니 북쪽 톨스토이-유르트 마을에서 마스하도프를 사살했다고 발표했다. 온건파로 분류되던 마스하도프의 사망으로 체첸 분쟁의 평화적 해결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2. 4. 퇴임과 암살

2002년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자 러시아체첸 공화국에 새로운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마스하도프 측은 독립파 진영에서 전시 상황임을 이유로 헌법상 대통령 임기가 연장되었다고 주장하며, 계속해서 "체첸 공화국(이치케리아) 대통령"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2]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정치적 대화를 통한 체첸 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호소했으며, 샤밀 바사예프 등 강경파와는 거리를 두는 입장을 취했다.

제2차 체첸 전쟁 발발 이후 마스하도프는 게릴라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바사예프 다음으로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수배된 인물이 되었고, 러시아 정부는 그의 체포에 1000만달러현상금을 걸었다. 분리주의 세력의 공식적인 정치 지도자로 여겨졌으나, 구체적인 군사적 역할 수행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는 2000년부터 여러 차례 모스크바와의 무조건적인 평화 협상 의사를 밝혔지만, 러시아 측은 이를 일관되게 거부했다.[12]

마스하도프는 러시아의 체첸 점령에 대한 무장 저항을 주장하면서도 민간인 공격은 비난했다. 그는 친러시아 성향의 체첸 대통령 아흐마트 카디로프 암살은 지지했지만, 카타르에서 발생한 전 체첸 분리주의 대통령 젤리무르잔 유다르비예프에 대한 러시아의 암살은 비난했다. 바사예프 추종자들의 잔혹한 테러 행위에 대해서는 종종 책임을 부인하며 아흐메드 자카예프와 같은 해외 대변인을 통해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2002년 10월, 러시아 영토 내 테러 활동 강화를 촉구하는 마스하도프의 메시지가 무선 통신으로 가로채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7]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의 주범들이 마스하도프의 연루를 시사하는 증거를 제공했다는 주장도 있다.[7] 그는 2004 나즈란 습격에 대한 책임을 처음에는 부인했으나, 2004년 7월 공개적으로 책임을 인정하며 유사한 공격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고했다.[7]

2004년 9월 발생한 베슬란 학교 인질 사태에 대해서 러시아 측은 마스하도프의 연루를 주장했지만, 그는 9월 23일 성명을 통해 사건과의 관련성을 부인하고 테러 행위를 강력히 비난했다. 또한 범행 성명을 낸 바사예프 등을 자신의 책임 하에 재판에 넘기겠다고 밝혔다. 그는 베슬란 사태의 배경으로 러시아군의 체첸 침공이 제노사이드임을 지적하며, 러시아군에 의해 살해된 체첸인 25만 명 중 어린이가 4만 2천 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13]

2005년 1월 15일, 마스하도프는 2월 말까지(1944년 바이나흐인 강제 추방 기념일) 체첸 내외에서 자기 방어를 제외한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하라는 특별 명령을 내리고, 다시 한번 협상을 통한 분쟁 종식을 촉구했다. 그의 협상가인 우마르 캄비예프는 분리주의자들이 더 이상 독립이 아닌 "체첸 민족의 존재에 대한 보장"을 추구한다고 밝혔다.[14] 이 일방적인 휴전 선언은 바사예프의 지지를 받았으나, 러시아와 친러시아 지도자들은 협상을 거부하며 이를 일축했다.[15] 마스하도프의 공격 중단 명령은 다게스탄을 제외한 지역에서 대체로 지켜졌다.[16]

2005년 3월 8일, 마스하도프가 휴전을 선포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러시아 연방 안전국(FSB) 국장 니콜라이 파트루셰프는 FSB 특수부대가 체첸 수도 그로즈니 북쪽 톨스토이-유르트 마을에서 작전을 수행하여 마스하도프를 사살하고 그의 측근들을 체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18][19][20] 파트루셰프는 특수부대가 마스하도프를 생포하려 했으나, 그가 숨어 있던 벙커에 수류탄을 던지는 과정에서 실수로 사살했다고 주장했다.[19] 마스하도프의 측근이었던 아흐메드 자카예프는 마스하도프의 사망 가능성을 인정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암살 작전에 참여한 요원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마스하도프 사망 직후 체첸 반군 평의회는 압둘-할림 사둘라예프가 지도자직을 승계했다고 발표했다.[21]

암살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체포된 마스하도프의 조카이자 경호원인 비스칸 하지무라도프는 재판에서 폭발로 정신을 잃어 기억나지 않는다고 증언했지만, 체포 후 "삼촌(마스하도프)이 부상당하고 체포가 임박하면 자신을 쏘라고 항상 말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22][20] 2006년 마스하도프의 아들 안조르는 아버지가 작전 이틀 전 휴대전화 IMEI를 통해 추적당했으며, 친척 집 지하 벙커에서 발견된 후 러시아 특수부대와 대치하다 섬광탄에 맞고 사살되었다고 주장했다.[20]

2006년 4월, 러시아 검찰총장실은 테러 관련 범죄자의 매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마스하도프의 시신을 유족에게 인도하는 것을 거부했으며, 매장 장소도 공개하지 않았다. 마스하도프의 가족은 그의 유해 반환과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유럽 평의회 등에 문제를 제기하는 등 운동을 벌이고 있다.[23][24][20] 온건파로 평가받던 마스하도프의 사살로 평화적 해결 가능성이 더욱 희박해졌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3. 정치적 성향과 평가

마스하도프는 체첸 독립파 중 비교적 온건한 성향을 보인 정치가였다. 그는 1998년 강경파들이 다게스탄을 침공했을 당시에도 러시아 연방과의 갈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려 노력했다. 이후 2차 체첸 내전이 발발하고 체첸 정부의 대통령이 되었을 때에도 러시아 정부와 대화를 시도하려 하였다. 마스하도프는 재임 중 베슬란 인질 사건 당시 사밀 바사예프의 테러에 반대했으며, 극단주의자들의 테러와 공격을 자제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는 체첸의 대통령 중 비교적 체첸의 독립을 무력이 아닌 외교로 해결하려 했던 인사로 평가받는다.

4. 가족 관계

17세에 결혼했으며, 아내 쿠사마(Kusama)는 교육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슬하에 아들과 딸, 총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아들은 제1차 러시아-체첸 전쟁 당시 군사 작전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Сын Масхадова опровергает официальную версию гибели лидера сепаратистов Чечни http://www.kavkaz-uz[...] 2009-02-18
[2] 웹사이트 Maskhadov, Aslan (Khalid) Alievich http://eng.kavkaz.me[...] 2008-02-11
[3] 웹사이트 Peace Treaty and Principles of Interrelation between Russian Federation and Chechen Republic of Ichkeria http://www.reliefweb[...] 1997-05-12
[4] 서적 Death of a Dissident: The Poisoning of Alexander Litvinenko and the Return of the KGB https://www.amazon.c[...] Free Press 2017-01-29
[5] 웹사이트 Chechen Republic: Amnesty International condemns public execution-Amnesty International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Latvia Condemns Public Executions in Chechnya http://www.mfa.gov.l[...] 2015-01-12
[7] 서적 Chechnya: From Past to Future Anthem Press
[8] 웹사이트 Programs – The Jamestown Foundation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Профиль — еженедельный деловой журнал https://archive.toda[...]
[10] 웹사이트 FindArticles.com – CBSi https://web.archive.[...]
[11] 서적 Культура Чечни: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ые проблемы https://web.archive.[...] Наука
[12] 뉴스 Analysis: Is It Too Late For Peace Talks in Chechnya? http://www.rferl.org[...] 2008-04-08
[13] 뉴스 Obituary: Aslan Maskhadov http://news.bbc.co.u[...] BBC 2005-03-08
[14] 뉴스 Chechnya: Cease-Fire Holding, But Little Chance of Negotiations Seen http://www.rferl.org[...] 2008-04-08
[15] 웹사이트 Chechnya: Ceasefire or bluff? http://www.reliefweb[...] 2005-02-09
[16] 웹사이트 Programs – The Jamestown Foundation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В Чечне убили Масхадова, утверждают военные https://www.newsru.c[...] 2005-03-08
[18] 뉴스 Chechnya: Maskhadov Reportedly Orders Cease-Fire https://www.rferl.or[...] 2008-04-08
[19] 웹사이트 Putin: Double-check Maskhadov death https://www.aljazeer[...]
[20] 웹사이트 Сын Масхадова опровергает официальную версию гибели лидера сепаратистов Чечни https://www.kavkaz-u[...] 2006-01-26
[21] 서적 Андрей Савельев: Чёрная книга чеченской войны https://archive.toda[...]
[22] 웹사이트 "Следствие: Масхадова застрелил охранник." http://www.agentura.[...]
[23] 웹사이트 Maskhadov's family asks religious leaders to help them to get his body out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All-European action for giving out Maskhadov's body to his relatives for burial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